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변수 선언하기 - int, char, String, float, double, boolean
    자바 기본 2023. 4. 24. 15:57

    오늘은 자바에서 변수를 선언해보도록 하겠다!

    우선 저번처럼 

    Blog(java project) 안에 새로운 클래스를 하나 만들어준다.

    이름은 변수를 의미하는 Variable, 패키지도 맞춰서 Variable_로 지어준다.
    (이름을 굳이 맞출 필요는 없다. 개인이 원하는대로)

    마찬가지로 main함수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체크박스를 체크하고 Finish를 눌러준다.

    위 사진과 같이 변수를 생성하는 법은

    int, char, String, float, double, boolean 과 같은 자료형, 즉 변수의 형태를 쓰고
    그 다음 변수이름을 소문자로 시작해서 이름 짓는게 원칙이다.

    (자료형의 종류는 이것들 말고도 더 있다)

    자료형 변수명;
    자료형 변수명2;
    /*

    *변수명은 항상 영어로 짓는게 바람직하다. 영어가 아니면 최소한 알파벳으로..

    *물론 한글로 지어도 작동하는데에 문제는 없다.하지만 한국어는 우리나라만 쓰기 때문에
    *알파벳을 쓰는 것에 익숙해지도록 하자.

    */

     

     

    각 자료형들이 뭘  의미하는지는  알아보기 전에

    우선 ;에 대해서 언급하고 싶은것이 있다.

     

    사람이 글을 쓸때 .(마침표)를 쓰듯이 자바 문법에도 코드를 적고 마침표 대신 ;(세미콜론)을 쓴다.

    물론 몇몇 다른 언어에서는 쓰지 않아도 작동하지만 자바에서만큼은 항상 써야한다.(내가 아는 바로는)

    쓴다고 손해보는것은 없으니 항상 습관을 들여놓도록 하자!

     

    자료형

    각 자료형들은 각각 변수의 형태, 즉 변수의 자료가 무엇인지를 가리킨다.

     

    자료형들은 각자 크기가 다르고, 저장 범위도 다르지만 크기(byte)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을 것이다.

    byte에 대한 내용은 검색하면 나오니 궁금하면 찾아보도록 하자.

     

    int는 integer(정수)의 줄임말로 표현가능범위(저장범위)는 –2,147,483,648 ~ 2,147,483,647 이다. ( 2^31-1 ~ 2^31 )

    float는 floating point(부동소수점)의 줄임말이다.

    double은 double-precision floating point(부동소수점 두배)의 줄임말이다.

     

    이외에 char나 String, boolean은 값을 숫자로 표기하지 않는다.
    char은 character(캐릭터)의 줄임말로 알파벳 1개, 또는 -128 ~ 127 까지의 숫자를 표현 가능하지만

    솔직히 말하면 char은 쓸 일이 없다. 적어도 내가 하는 작업들 중에선... 

    String은 한국어로 문자열 이라는 의미로, 말 그대로 "문자들의 열" 을 의미한다.

    boolean은 참과 거짓을 구분하는 데이터 타입으로 "불린"이라고 불린다.

    int –2,147,483,648 ~ 2,147,483,647
    float 3.4E+/-38(7개의 자릿수)
    double 1.7E+/-308(15개의 자릿수)
    char 1개의 '알파벳' 또는 -128 ~ 127
    String "문자열"
    boolean true , false

     

    이 표를 작성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사실 이 글을 보면서 배울 사람은

    char를 쓸 일도,

    자료형의 크기들을 알 필요도,

    다른 long이나 short 같은 자료형을 알 필요도 없다고 생각한다.

     

    다른 블로그에서는 거의 모든 자료형들의 크기와 의미, 저장 범위들을 설명해주지만

     

    솔직히 말하면 나는 의미없다 생각한다.

     

    어차피 쓰는것들은 거의 정해져있고 그것들이 내가 위에 작성한 것들이 대부분이다.

     

    물론 더 깊게 파고들면 

     

    자료형의 크기가 왜 중요한지,

    왜 다른 자료형들도 쓸일이 있는지 알게된다.

     

    하지만 우리는 아직 초보고, 기본을 닦을 시간도 부족하다.

     

    그러므로 다른 자료형이나 그 외의 질문들은 할 필요도 없다.

    궁금하면 찾아보는걸로 하자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자, 그러면 변수형이 각각 뭘 의미하는지는 알았으니,

    이제 변수형에 값을 대입해보자.

    이렇게 값을 넣지 않고 변수를 만드는 것을,

    "변수를 선언한다" 라고 하고,

     

     

    변수에 값을 넣으면,

    "변수를 초기화" 라고 한다.

     

    /*

    * 변수를 초기화 한다고 하면 처음 프로그래밍을 배우는 사람들은 헷갈릴 수 있다.

    * "변수를 초기화한다고? 0으로 만든다는건가?" 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

    * 변수를 initialize(초기화) 한다는건 그 전에 값이 있던 없던 지금 내가 대입하는 값을
    * 기본값으로 지정한다 라는 의미이다.

    */

     

    항상 기억하자. 변수는 항상 초기화해야 한다. 그게 편하다.

     

    /*

    * 참고로 char를 표현할땐 작은따옴표(')를 쓰고,

    * String을 표현할땐 큰따옴표(")를 쓴다.

    * float을 표현할땐 숫자 뒤에 f를 붙여 double과 헷갈리지 않도록 쓰인다.

    */

     

     

    자 그럼 이제 각 변수들을 출력해보자.

     

    잘 출력되는 걸 볼수 있다.

     

    다음 시간에는 변수들을 이용해 연산을 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자.

     

    오늘의 할일 끝!

    '자바 기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오늘부터 시작 - Hello World!  (1) 2023.04.21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